본문 바로가기
STUDY/심리학

심리학의 이해 16 - 사회, 집단 심리 2

by DD多多 2023. 6. 16.
반응형

(3) 사회적 기술

1) 사회적 기술이란?
⁃ 사회적 기술 : 우리는 타인과의 원활한 대인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을 배운다. 이것을 사회적 기술이라고 한다.
⁃ 사회적 기술의 분류 : 임상심리학자인 골드스타인 등의 목록에는 초보적인 기술, 고도의 기술, 감정처리 기술 등으로 분류된 50종의 사회적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기술의 획득 여부, 그리고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실행 여부가 대인관계의 원활함, 즉 교제의 능숙함과 미숙함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 예) 초보적인 기술(듣는다, 대화를 시작한다, 대화를 이어간다, 질문을 한다, 감사의 말을 한다, 자기소개한다, 타인을 소개한다, 경의를 표현한다), 고도의 기술(도움을 요청한다, 참여한다, 지시를 내린다, 지시에 따른다, 사과한다, 납득시킨다), 감정처리 기술(자신의 감정을 안다, 감정을 표현한다, 타인의 감정을 이해한다, 타인의 분노를 처리한다, 애정 표현, 두려움을 처리한다, 자신을 칭찬한다), 공격을 대신할 기술(허가를 구한다, 서로 나눈다, 타인을 돕는다, 화해한다, 자기통제, 권리를 주장한다, 괴롭힘을 처리한다, 타인과의 문제를 처리한다, 투지를 유지한다),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기술(불평을 말한다, 불만에 답한다, 게임 후 스포츠맨십, 당혹감을 처리한다, 무시당함의 처리, 친구를 위해 주장한다, 설득에 대응한다, 실패를 처리한다, 모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비난을 처리한다, 어려운 대화에 응한다, 집단 압력에 대응한다) 등

2) 사회적 기술 모델
: 사회적 기술은 어떤 과정을 거쳐 실행되는지 규명하기 위해 사회적 기술 모델을 검토하였다.
⁃ 상대방의 대인 반응 해독 : 상대방의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지각하는 대인 반응의 지각 과정, 대인 반응의 지각을 토대로 상대방이 어떤 의도와 요구를 가지고 반응하는지 해석하는 대인 반응의 해석 과정, 대인 반응을 해석한 결과 일어나는 대인 감정의 발생 과정이다.
⁃ 대인 목표 설정 : 상대방의 반응을 해석하여 특정 감정이 일어나면 눈앞에 있는 상대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 결정한다.
⁃ 감정 통제 : 대인 반응 해석의 결과 발생한 감정과 함께 대인 목표 결정은 새로운 감정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감정 통제가 필요하다.
⁃ 대인 반응 결정 : 대인 목표가 결정되고 감정 통제가 이루어지면 대인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결정된다. 기술 요인의 결정, 기술 요소의 결정, 대인 반응의 효과 예측이라는 3가지의 하위 과정이 포함된다
⁃ 대인 반응 실행 : 결정된 대인 반응을 실제로 표출하는 것이 대인 반응 실행 과정이다. 대인 반응을 실행했을 때 상대는 어떠한 반응을 할 것이며, 이 반응은 다시 상대방의 대인 반응 해독 과정으로 해석된다.


(4) 집단 심리

1) 집단이란?
⁃ 집단과 집합 : 심리학에서의 집단이란 일정 수의 구성원이 어떤 목표 아래 상호 작용하는 상태를 가리키며 단순한 사람들의 모임인 집합과는 구별된다.
⁃ 집단응집력 : 집단이 한데 뭉쳐 존속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을 집단에 머물게 할 힘이 필요한 데 이러한 힘의 총체를 집단응집력이라고 한다.
⁃ 집단규범 : 집단 내에는 각 구성원이 공유하는 표준적인 사고와 행동 방식을 집단규범이라고 한다.

2) 집단 구조
: 집단 구성원 간에 보이는 심리적인 관계성의 패턴을 집단 구조라고 한다. 집단 구조는 그 집단의 개성을 규정함과 동시에 집단에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 특히 집단 구성원의 의욕과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집단 구조를 만들어가는 구성원 간의 심리적 관계는 여러 가지 측면이 있는데 이 측면을 구조의 차원이라고 한다.
⁃ 의사소통 구조 : 의사소통은 집단 내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의사소통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패턴, 즉 의사소통 구조는 그 집단의 특징을 반영한다.
⁃ 사회성 측정 구조 : 집단 구성원 간에는 좋음, 싫음의 감정이 존재한다. 모레노는 집단 내에서 어떤 활동을 할 때 같이 하고 싶은 사람을 선택하는 행동을 좋음이라는 감정의 표현으로, 같이 하고 싶지 않은 사람을 배척하는 행동을 싫음이라는 감정의 표현이라 생각하여 이러한 선택과 배척 관계를 사회성 측정 관계, 이 관계에 의해 구성된 구조를 사회성 측정 구조로 정리했다.
⁃ 권력 구조 : 집단이 형성되고 구성원의 상호작용이 진행되면 각 구성원은 집단 내에서 자신의 역할과 지위를 갖게 된다. 어떤 구성원에게 지시를 내리는 강력한 힘을 갖기도 하는데 이 힘을 사회적 권력이라고 하며 권력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집단 구조를 권력구조라고 한다.

3) 리더십
⁃ 리더십 행동 : 레빈 등은 리더의 행동 양식을 민주형, 권위형, 방임형의 세 가지로 분류하는데 민주형의 리더는 권위형, 방임형의 리더보다 집단 목표에 대한 구성원의 참가 의욕을 높이고 불공평함과 불만 발생을 억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 집단의 목표와 과제 달성에 관련된 것과 인간관계 유지에 관련된 것으로 리더십 행동을 나눌 수 있다. 일본 미스미 교수는 이것을 P기능(performance : 과제 수행), M기능(maintenance : 집단 유지)이라 명명하고 그 강약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것을 PM 이론이라고 한다.
- 리더십과 상황 요인 : 리더십의 효과성이 상황 요인에 의해서도 좌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리더십 유형과 집단 상황과 관련한 리더십 효과성을 밝힌 것이 피들러의 상황 리더십이론이다. 이 모델에서는 인간관계 지향형, 과제 지향형 등의 2가지 리더십 유형의 효과성이 리더와 구성원 관계의 좋고 나쁨, 과제의 유형, 리더의 세력 등의 집단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판단하였다.

 

 

참고문헌 : 간호, 의료인을 위한 심리학의 이해 - 대광의학

저자 : HISAO OSADA

편역 : 김선희, 이해인, 나현주, 노희선, 송예헌, 오선미, 차정민, 최아론

 
반응형